1. minikube 시작하기
minikube start --driver=docker --no-vtx-check
2. 인터넷 연결을 위한 Service.yml 파일 만들기
vim service.yml
아래는 service.yml에 들어가는 내용이다.
---
apiVersion: v1
kind: Service
metadata:
name: demo-service
namespace: development
spec:
selector:
app: pod-info
ports:
- port: 80
targetPort: 3000
type: LoadBalancer
파일을 만들었다면 Kubernate에 적용시키자.
kubectl apply -f service.yaml
정상적으로 완료된다면
"service/demo-service created"과 같이 뜬다.
3. IP를 찾아 인터넷에서 확인하기
외부 IP를 찾기 위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.
kubectl get services -n development
그리고 실행하면 External IP를 이용해야 하는데 pending이 뜨는 것을 볼 수 있다.
이와 같이 뜨는 이유는 minikube나 kubeadm과 같은 커스텀 Kubernate Cluster은 LoadBalancer가 없다.
AWS, Google Cloud, Azure과 같은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IP를 할당해 준다.
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터미널을 Ctrl + Alt + T로 열어준다.
그리고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.
minikube tunnel
실행화면
그리고 Linux에서 FireFox를 켜고 External IP에 적혀있는 주소를 입력해 주면 다음을 확인할 수 있다.
이것은 바로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이 인터넷에 연결된 모습이다!
Reference
Linkedin/ learning kubernates/ Kim Schlesinger
'데이터 사이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afka] 간단하게 보는 Kafka 등장 배경, 특징, 활용 사례 (0) | 2023.06.01 |
---|---|
[Window][Docker] 도커에서 파일 실행 시 오류 (0) | 2023.05.24 |
[VirtualBox][Kubernates] BusyBox로 애플리케이션 상태 확인하기 (0) | 2023.04.22 |
[YAML] YAML이란? 기본 특징, 데이터 타입, 문법 (0) | 2023.04.22 |
[VirtualBox][Kubernate] namespace 생성하기 (0) | 2023.04.21 |